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반응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보안컨설팅
- EC2
- 인스턴스
- metasploit
- 와이어샤크
- isms
- 네이버클라우드
- 클라우드보안
- 클라우드 자격증
- 파일시그니처
- RDS
- AWS
- 개인정보보호법
- AWS SAA
- azure
- 클라우드
- mysql
- AWS SSA
- 공개키
- 로그분석
- 클라우드자격증
- Iam
- Burp Suite
- 취약점
- 정보보안
- ncp
- 클라우드서비스
- 정보보호
- ISMS-P
- 로드밸런서
Archives
- Today
- Total
처음 만나는 클라우드 보안
CentOS 7 ssh설정 본문
반응형
CentOS7에는 기본적으로 openssh가 설치되어 있다.
1. openssh 확인
1) 상태 확인
service sshd status
systemctl status sshd
2. ssh config 파일 설정
vi /etc/ssh/sshd_config
#Port 22 (주석 제거)
#PermitRootLogin yes (root 로그인 허용)
3. 방화벽 정책 허용
firewall-cmd --zone=public --add-port=22/tcp --permanet
4. openssh 재시작
service sshd restart
systemctl restart sshd
active (running) 확인되면 ip 확인 후 root 권한 접속
반응형
'정보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Zero Trust] 제로트러스트란? (0) | 2024.01.12 |
---|---|
FTP, SFTP, SSH 구분 (0) | 2023.05.18 |
[Linux보안] 취약한 기본 서비스 - Finger , NIS, Tftp, Talk, SNMP (0) | 2023.03.10 |
[정보보안] 위험관리란? (위험대책, 위험분석 기법 정리) (0) | 2023.02.21 |
[IoT보안] OS 커멘드 인젝션이란? (0) | 2022.12.12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