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 만나는 클라우드 보안

마크업 언어와 HTML에러 분류 본문

네트워크

마크업 언어와 HTML에러 분류

영민하게 2022. 5. 9. 17:29
반응형

마크업 언어 (Marku language)

: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를 말한다. 데이터를 기술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. 주요 마크업 언어로 SGML, HTML, XML, XHTML 등이 있다.

 

표준문서: SGML, HTML, XML

 

1) SGML (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)

: 정부의 대규모 사업 과정에서 문서를 공유할 목적으로 개발된 마크업 언어이다. 작성이 다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.

 <QUOTE TYPE="example">
   typically something like <ITALICS>this</ITALICS>
 </QUOTE>

2) 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

: Sir.팀버너스리가 SGML을 단순화해서 만든 것.  이미지와 Txt, Hypertext 등 표시 가능

 

3) XML (eXtensible Markup Language)

: SGML에서 파생된 다목적 마크업 언어로서 내용과 형식이 분리되었다는 특징이 있다. 이로써  기존 형식 변동 없이 내용 변경이 가능하다. ex) 네이버 인물정보, 기상청 RSS 등

 

: 최근 ms제품들에선 Open XML 규격을 따르고 있다. ppt-->pptx, doc--> docx, xls--> xlsx (뒤에 붙는 x는 xml이라는 뜻,

추가) ~x의 File signature는 PK, Hex는 50 4B

 

 

HTML에러 코드 정리

400번대 에러

: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 못 된 경우

  401: Unauthorized: 로그인 실패 등

  403: Forbidden: 접근이 제한된 페이지

  404: Not Found: 서버를 찾지 못함

 

500번대 에러

: 서버쪽에서 잘 못 된 경우

  501: Internal Sever error: 서버측 문제로 서비스 제공이 불가

  503: Service Unavaliable: 사용자가 폭주 또는 DDos 공격으로 인한 다운

 

참고자료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A7%88%ED%81%AC%EC%97%85_%EC%96%B8%EC%96%B4

https://www.whatap.io/ko/blog/40/
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XML

반응형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