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Azure] 처음 만나는 Azure (8) - VM서버 구축: 로컬 Key Pair 접속
로컬에서 생성한 Key pair를 활용한 VM접속
1. 로컬 Key Pair 생성
VM이 아닌 로컬 데스크탑 VMware의 우분투에서 진행한다.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ssh접속을 위한 Key Pair (Public & Private)을 생성하고 Public키를 미리 복사해둔다.
(키페어 생성 관련 이전 포스팅 참조)
[Azure] 처음 만나는 Azure (7) - VM서버 구축: VM Key Pair 접속 + 디스크 추가
VM에서 생성한 Key pair를 활용한 VM접속 1. 서버 구축 관리 서버는 이전 실습에서 생성한 Window서버를 사용한다 (아래) 2022.07.11 - [클라우드 컴퓨팅/Microsoft Azure] - [Azure] 처음 만나는 Azure (6) - Wi..
cloudinfosec.tistory.com
- 공개키 확인 및 복사
2. VM 서버 구축
- 우분투 리소스 생성
리소스 만들기 > 우분투 이미지 선택
...
디스크, 네트워킹, 관리, 고급은 모두 기본값으로 진행
...
- 검토 및 배포 확인
- 로컬에서 Azure VM연결
ssh -i ./.ssh yngmin@20.249.16.144
3. 웹서버 세팅
1) Apache2 설치
$sudo apt update
$sudo apt install apache2 // 웹서버 설치 후 접속 확인
2) MySQL 설치 및 세팅
$sudo apt install mysql-server
$mysql -u root -p // 엔터로 바로 접속
mysql > create database gnuboard;
mysql > create user gnuboard@localhost
mysql > grant all privileges on gnuboard.* to gnuboard@localhost;
mysql > exit
3) gnuboard 설치
$ sudo apt install php php-mysql php-common php-json php-xml php-fpm php-gd curl git -y // 웹서버를 위한 툴 설치
$ cd var/www/html
$ sudo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gnuboard/gnuboard5
$ cd gnuboard5
$ sudo mkdir data
$ sudo chmod 707 data
$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
웹페이지 구동 확인
참고자료
처음 배우는 애저, 2021, 김도균, 한빛미디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