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AWS SSA] 오토스케일링 & 로드밸런서 개념정리
오토스케일링
- Simple Scaling
: 한 가지 지표만 보고 오토스케일링하는 방식 ex) CPU 사용량 80% 넘기면 EC2추가
- Target Tracking Saling (목표 추적 스케일링)★
: CPU사용률 50%로 타깃 설정, 급격한 요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음 / 대상의 변동폭이 매우 클 경우 유리
추가) 클러스터 배치 그룹 (Placement Group)
: 같은 AZ(가용영역)에 여러 대의 EC2를 묶어 배치 그룹으로 만듦 => EC2간 데이터 교환 속도 증가됨
로드밸런서
- Elastic Load Balancing유형★★★
NLB(Network Load Balancer): 4계층 주소인 Port를 기반으로 생성 ex) Routing, NAT(Cloud)
ALB(Application Load Balancer): 7계층 HTTP(S) 헤더 (URL)를 기반으로 수신 서버 결정
Classic Load Balancer (CLB)
참고) 속도: NLB > ALB, ALB는 path-based routing이 가능하므로 path에 따른 특정 서버 라우팅 경우에 적합 ex) api, GW
- ALB(Application Load Balancer)
: 경로 기반(Path Based) 부하 분산 방식,URL에 따라서 따로 부하를 분산 (하나로만으로도 여러 타깃의 부하분산 가능)
: IP 헤더의 출발지가 ALB의 IP주소로 설정됨, X-Forwarded For (헤더 조작)을 통해 원래 클라이언트 IP주소로 변경해야 함
- naver.com/news
- naver.com/shpping
- naver.com/weather
- naver.com/login


- 분배 방식
- Round Robin(순차 분배)
- Flow Hash Function (출IP, 목 IP, 출Port, 목 Port 등) : 같은 Client와 같은 서버의 연결을 유지한다.
- Sticky Session (같은 서버의 연결 유지)
- Health Check 방법
- 웹서버에 대해서는 http응답 확인 (200이면 정상, 500, 503은 문제 있음)
- ICMP(ping), SYN를 사용하여 ACK/SYN응답 확인
참고자료
https://dev.classmethod.jp/articles/for-beginner-load-balancer-explanation/#toc-3
초보자도 이해할 수있는 Elastic Load Balancer | DevelopersIO
소개 안녕하세요! 클래스메소드 금상원 입니다. 이번 블로그에서는 Elastic Load Balancer의 대한 설명을 할려고 합니다. Elastic Load Balancer는 트래픽을 관리해주는 서 …
dev.classmethod.j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