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
[OSI 7계층] 계층 별 캡슐화 과정 정리
영민하게
2022. 5. 12. 22:19
반응형
OSI 7 계층별 캡슐화
:각 계층에선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필요한 정보(헤더)를 붙여 다음 계층에 보낸다. 이처럼 헤더를 붙여나가는 것을 캡슐화(Encapsulation)이라고 한다.
- 데이터 송신: 상위 계층 (7 계층) => 하위 계층 (1계층) / 데이터의 캡슐화
- 데이터 수신: 하위 계층 (1계층) => 상위 계층 (7계층) / 데이터의 역 캡슐화
OSI 계층 | 주요기능 | 데이터 단위 | TCP/IP 계층 |
7L 응용 계층 Application |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서비스 수행 | 메시지 데이터 | 응용계층 |
6L 표현 계층 Presentation | 데이터 암복호화 및 압축을 통해 파일의 형식 결정 (GIF, JPG) | ||
5L 세션 계층 Session | 양반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순서 및 통신세션 구성,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연결 | ||
4L 전송 계층 Transport | 데이터를 단편화 하여 세그먼트(Segment)를 구성, 통신과 발생하는 에러를 담당 | 세그먼트 | 전송계층 |
3L 네트워크 계층 Network | IP주소 헤더와 함께 패킷 구성, 최적의 경로 선정한 패킷(Packet) 구성 | 패킷 | 인터넷 계층 |
2L 데이터 계층 Data link | 맥주소(MAC)주소와 회선접속을 확인하여 전송제어, 프레임(Frame) 구성 | 프레임 | 네트워크 계층 |
1L 물리 계층 Physical | 0 또는 1과 같은 전기 물리적 통신 수단 제공 | 비트 |
참고자료
https://velog.io/@hidaehyunlee/데이터가-전달되는-원리-OSI-7계층-모델과-TCPIP-모델
https://peemangit.tistory.com/12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