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 만나는 클라우드 보안

[AWS] RDS를 이용한 웹서버 구축: 온프레미스+클라우드 본문

클라우드 기초/Amazon AWS

[AWS] RDS를 이용한 웹서버 구축: 온프레미스+클라우드

영민하게 2022. 6. 14. 00:39
반응형

온프레미스 (VMware - Gnuboard) + 클라우드 (RDS - Database): 시스템 구성도

 


 RDS DB서버 생성

[관련글] 2022.06.14 - [클라우드] - [AWS]클라우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(RDS) 생성 & 워크벤치 연결

 

[AWS]클라우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(RDS) 생성 & 워크벤치 연결

 아마존 RDS 서비스 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) : 통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엔진 (MySQL, MariaDB, Oracle 등 6가지)을 높은 확장성과 안정성이 보장된 클라우드로 사용할 수..

cloudinfosec.tistory.com

- MySQL 설정

mysql> create database gnuboard;

// 데이터 베이스 생성mysql> create user board@'%' identified by 'pass12#'; 

//외부접속 가능하도록 '%'로 설정
mysql> grant all privileges on gnuboard.* to board@'%' ;    //board에게 gnuboard의 모든 테이블 권한 부여

상위 과정은 모두 gnuboard에서 진행, RDS DB에서는 database만 생성

MySQL 외부 사용 설정(RDS는 불필요)

$ cd  /etc/mysql/mysql.conf.d

$ sudo  vi  mysqld.cnf

# bind-address 127.0.0.1  // bind-address 127.0.0.1 주석처리

$ sudo  service  mysql  restart  // mysql 재시작

 Web서버 생성 (VMware - On Premise)

- Apache2 및 관련 도구 설치

$ sudo apt update

$ sudo apt install apache2    // 웹서버 설치

$ sudo apt install php php-mysql php-common php-gd php-fpm php-xml php-json git php-curl // 웹서버 필요툴 설치

참고) 웹페이지 오류시 sudo apt install php 따로 실행

 

- GNUboard소스코드 다운

$ cd /var/www/html
$ sudo git clone http://github.com/gnuboard/gnuboard5    //githun에서 소스코드 다운
$ cd gnuboard5
$ sudo mkdir data
$ sudo chmod 707 data    // 사용자,그룹, 다른 사용자에게 읽고 쓰기 실행 권한 설정

$ sudo service apache2 restart    //웹서버 재시작

 

- 사용자 등록 (DB사용자 yngmin)

Host: 엔드포인트:3306

User/Password: RDS DB계정정보

참고) RDS의 보안그룹은 VMware접속 IP(내 로컬IP)에 대해 Open

웹페이지 구동 확인

반응형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