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음 만나는 클라우드 보안

약점(Weakness)과 취약점(Vulnerability) 본문

정보보안

약점(Weakness)과 취약점(Vulnerability)

영민하게 2022. 5. 3. 11:31
반응형

약점(Weakness) > 취약점(Vulnerability) > 취약점 공격(Exploit)

취약점: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약점을 말한다.

 

약점과 취약점

약점(Weakness)

번호체계: CEW-NNNNN (Common Wakness Enumeration, 일반적인 약점 목록)

관리기관: https://cwe.mitre.org/

 

CWE - Common Weakness Enumeration

CWE™ is a community-developed list of software and hardware weakness types. It serves as a common language, a measuring stick for security tools, and as a baseline for weakness identification, mitigation, and prevention efforts. 2021 CWE Most Important H

cwe.mitre.org

 

취약점(Vulnerability, Vulns)

번호체계: CVE-YYYY-NNNNnnn(Y는 년도, N은 숫자인데 4자리부터 7자리까지 사용)

    ex) CVE-2022-29968 (2022년도에 나온 취약점)

   취약점 번호를 받았다 --> 알려진 취약점 (One Day Exploit)

   취약점 번호를 안받았다. --> 아직 패치가 배포되지 않은 상태 (Zero-Day Exploit)

   취약점 패치가 나오기 전까지는 언론사에 엠바고(Embargo)를 요청 [일정기간동안 보도하지 말아달라 요청하는것]

 

관리기관: https://cve.mitre.org/

 

CVE - CVE

The mission of the CVE® Program is to identify, define, and catalog publicly disclosed cybersecurity vulnerabilities.

cve.mitre.org

 

약점은 버전과 관련없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반면, 취약점은 특정 버전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패치(업데이트)와 함께 사라진다. => 버전스캔이 해킹에 있어 중요하다.

 

반응형
Comments